Kpass(케이패스) vs 기후동행 - 청년에게 더 경제적인것은?
2025. 4. 21.
필자는 30살 서울 청년이다 서울에서만 출퇴근하는게 아니라면, 기후동해보다는 전국에서 사용가능한 K-패스가 더 이득일것이고,다자녀라면, 50%환급받는 케이패스가, 무조건 이득이다!일반형을 사용한다면, 20% 환급으로, 출퇴근러 조차 기후동행이 더 좋다! 그렇다면, 청년을 기준으로, 케이패스(30% 캐시백) vs 기후동행카드 청년형(정액 55,000원)얼마부터 기후동행이 이득일까? -> 결론은 53회부터누가 더 가성비 좋은지 실제 이용 상황을 나눠서 비교해보자✅ 기준 설정기후동행 청년형: 월 정액 55,000원 (따릉이 x)케이패스: 사용금액의 30% 캐시백, 70%만 실제 지출 1. 평일 출퇴근러(월금 주 5일 × 왕복 2회 = 약 4044회/월)항목내용이용횟수약 40~44회/월총 교통비1,500..